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인턴] 등장인물, 줄거리, 사회적 의미, 느낀점

by happyapples 2025. 3. 6.
반응형

영화 인턴 등장인물, 줄거리, 사회적 의미와 관련된 사진

"인턴(The Intern, 2015)"은 세대 차이를 뛰어넘은 직장 생활을 그린 감동적인 영화다. 이 작품은 노년층의 재취업 문제, 스타트업 기업의 문화, 세대 간의 소통을 현실적으로 담아내며 많은 직장인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영화 속 주요 캐릭터와 줄거리를 분석하고, 작품이 전달하는 사회적 의미를 깊이 있게 살펴보자.

 

영화 인턴의 주요 캐릭터 분석

벤 휘태커 (로버트 드 니로 분)
벤은 70세의 은퇴한 사업가로, 퇴직 후의 공허함을 느끼던 중 시니어 인턴 프로그램에 지원하게 된다. 그는 오랜 직장 생활에서 쌓은 경험과 성실한 태도로 젊은 동료들에게 신뢰를 얻으며 조직의 중요한 일원이 된다. 그의 성격은 온화하고 인내심이 강하며, 항상 주변을 세심하게 배려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CEO 줄스 오스틴과의 관계에서 그는 멘토 역할을 하며 그녀가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줄스 오스틴 (앤 해서웨이 분)
줄스는 패션 스타트업 "어바웃 더 핏(About The Fit)"의 창립자이자 CEO로, 열정적이고 카리스마 있는 리더다. 그러나 급성장하는 회사와 가정생활을 병행하면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그녀가 CEO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압박한다. 영화는 그녀의 인간적인 고민과 리더십의 어려움을 현실적으로 그려내며, 현대 여성 CEO가 겪는 문제들을 조명한다.

 

영화 인턴의 줄거리

영화는 벤 휘태커가 시니어 인턴 프로그램에 지원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그는 노년의 삶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고자 도전하며, 스타트업 회사 "어바웃 더 핏"에서 일하게 된다. 처음에는 젊은 직원들이 그를 어색해하지만, 차츰 그의 따뜻함과 경험을 인정하게 된다.

줄스 오스틴은 회사 운영에 몰두하느라 가정에 소홀해지고, 경영 스트레스까지 겹쳐 어려움을 겪는다. 그녀는 회사의 성장 속도를 따라가면서도 가족과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투자자들은 그녀에게 CEO 자리에서 물러나고 외부 경영자를 영입할 것을 제안하지만, 그녀는 고민 끝에 자신의 길을 가기로 결심한다.

한편, 벤은 줄스의 가장 든든한 지원자가 된다. 그는 그녀가 직면한 문제들을 경청하고 조언하며, 때로는 친구처럼, 때로는 아버지처럼 곁에서 힘이 되어준다. 결국 줄스는 자신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회사를 계속 이끌어나가기로 결정한다. 영화는 벤과 줄스가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성장하는 모습으로 마무리된다.

 

영화가 전달하는 사회적 의미

1) 세대 간 공존의 가치
"인턴"은 세대 차이를 뛰어넘어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조직 내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젊은 스타트업 직원들은 벤을 처음엔 낯설어하지만, 그의 경험과 조언이 회사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나이 듦이 결코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조직에 가치를 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워킹맘과 여성 CEO의 현실
줄스는 회사를 성공적으로 이끌지만, 가정과 직장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이는 현대 여성 리더들이 흔히 직면하는 문제를 반영한다. 영화는 그녀가 CEO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투자자들의 압박 속에서도 자신의 자리를 지켜나가는 모습을 통해, 여성 리더십과 사회적 편견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3) 일의 의미와 자아실현
벤은 퇴직 후에도 자신의 삶에 의미를 찾고자 인턴에 지원한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일"이 단순한 생계 수단을 넘어, 자아실현과 삶의 활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또한, 나이가 많아도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느낀 점

이 영화는 세대 간의 공존, 리더십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영화를 통해 직장 생활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와 인생을 바라보는 방식에도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처음에는 젊은 스타트업 직원들과 70세의 시니어 인턴 사이에 어색함이 존재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에게 배우고 성장 하는 관계로 발전한다. 나이가 많든 적든 열린 마음으로 배우려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일도 중요하지만 삶의 균형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일에 몰두하다 보면 가정과 개인의 행복을 소홀히 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볼 때, 워라밸을 유지하는 것이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열린 마음으로 배우는 자세를 가져야겠다고 다짐하게 되는 작품이었다. 

반응형